인권/복지

휴대전화 금지·CCTV 설치 병실서 용변 보게 한 정신병원 “인권침해”

by 누룽지아지매 posted Jun 11, 20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정신병원 입원환자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CCTV가 있는 병실에서 소변을 보게한 것에 대해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다.

5일 인권위에 따르면, 해당 정신병원 환자 A씨는 입원 시부터 병원 내 규칙을 이유로 휴대전화 반입을 금지당하고 코로나 19에 확진됐다는 이유로 병실에서 격리해 CCTV가 있는 병실에서 이동식 소변기에 소변을 보도록 하는 등 인권침해를 당했다고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휴대전화 반입을 제한한 것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녹음 및 녹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보호병동 입원 환자들에게 공중전화 이용을 권고하고 있는데, 입원 시에 모두 설명했고,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사생활과 행동 제한 설명 동의서’를 작성하게 한 후 입원하도록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코로나 19에 확진된 진정인이 본래 자가격리를 위해 당일 퇴원하기로 했는데, 확진자가 공용화장실을 사용하면 안 되기 때문에 방역을 위한 시간이 필요해 진정인에게 협조를 요청했으며 보호자 도착 시까지 용변이 급할 시에는 이동식 소변기를 지급해 사용하도록 했다고 항변했다.

이에 인권위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은 ▲현행 ‘정신건강복지법’에 치료의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른 경우가 아니면 통신과 면회의 자유를 제한할 수 없는 점 ▲휴대전화 제한 동의서를 쓰게 했지만, 이는 환자 개인에 대한 진단 및 처방이 아닌 환자 전원에게 일률적으로 조치한 것으로 구체적인 통신 제한의 사유 및 기간 등이 환자별로 진료기록부에 기재되지 않아 복지부 지침을 준수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다.

또한 병원장은 코로나 19에 확진된 진정인을 격리하는 과정에서 공용화장실 사용을 제한했고, CCTV 설치 병실에서 진정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없이, 이동식 소변기를 통해 용변을 해결하도록 했다. 이는 ‘헌법’ 제10조 및 제17조의 인격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침해라고도 밝혔다.

이에 인권위는 해당 정신병원장에게 ▲‘보호병동 사생활과 행동 제한 및 설명 동의서’를 현행 법령에 맞게 수정할 것 ▲보호병동 입원환자의 휴대전화 소지를 원칙적으로 허용하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치료의 목적으로 최소 한의 범위 안에서 제한하며 그 제한의 사유 및 내용을 진료기록부에 기재할 것 ▲감염병에 따른 격리환자들이 불가피하게 용변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CCTV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림막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등을 권고했다.

또한 향후 유사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신의학과 소속 전문의들을 포함한 소속 직원에게 인권 교육을 실시할 것도 포함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