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92.243) 조회 수 3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beminor.com/1000minor/img/slb.js"></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beminor.com/Libs/_js/tooltip.js"></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beminor.com/Libs/_js/tooltip_new.js"></script> <style type="text/css"> </style>
Loading...
> 뉴스 > 노 동
크게보기작게보기프린트메일보내기스크랩
<script type="text/javascript"> rankup_menu.draw_page_locale({element: 'location', locale: 'div[class="left"]'}) </script>
"가난한 사람은 일하는 것이 생존권"
장애인 의무고용률 미달 법원·검찰청 규탄 기자회견 열려
"의무고용률 지키게 하고, 3%에서 더 높여야” 성토해
2011.07.21 21:37 입력 | 2011.07.21 22:53 수정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는 법원과 검찰청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21일 진행됐다.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지키지 않고 있는 법원과 검찰청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21일 법원·검찰청 앞에서 진행됐다.

 

고용노동부(장관 이채필)는 2010년 말 현재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률(국가·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공공기관 3%, 국가·지방자치단체 비공무원과 민간기업 2.3%)이 저조한 곳의 명단을 지난 8일과 14일에 각각 발표한 바 있다.

 

이 자료에 의하면 전국 16개 교육청과 국회(공무원 기준 1.07%), 헌법재판소(1.62%), 법원(2.22%), 검찰청(2.32%) 등 입법·사법기관 등의 의무고용률이 법정 기준 3%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가 주최한 이날 기자회견에서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홍구 공동대표는 “전 세계의 장애인 인구는 10%라고 세계보건기구가 밝히고 있다”라며 “프랑스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6%, 독일은 5%이지만 우리나라는 3%인데 이것마저도 지키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홍구 공동대표는 "이명박 대통령은 최고 좋은 복지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 공동대표는 “이명박 대통령은 최고 좋은 복지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라면서 “장애인은 활동보조인서비스 제도 등 사회적 서비스도 미흡하고 최고의 복지라는 일자리도 못 받고 있는데, 장애인은 살지 말란 이야기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김태현 사무처장은 “우리나라 장애인 실업률은 공식 통계상 28~30%로 잡힌다고 한다. 구직 활동을 하는 장애인만 통계로 잡기에 실제 장애인 실업률은 65~70%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장애인이 일할 환경이 못되고 있으며, 편의시설이나 작업공간도 많이 부족하다”라고 지적했다.

 

김 사무처장은 “많은 장애인이 일하고 싶어하고 해야 하는 이유는 가난한 사람에게는 일하는 것이 생존권이기 때문”이라며 “의무고용률 3%는 최소한으로 국가와 사회가 장애인에 대한 예의 차원에서 지켜줘야 할 부분”이라고 역설했다.

 

장애인푸른아우성 조윤경 대표는 “사람은 일하면서 자기를 확인하고 일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에 행복해지며 삶의 질도 높아지게 된다”라며 “당장 최소한의 의무고용률을 지켜서 장애인의 생존권과 자아실현욕구와 행복권이 지켜지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김태현 사무처장이 발언하고 있다. 

 

전장연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최소한의 할당된 기준인데 법이 만들어진 지 21년째가 되었어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라며 “이것은 사회 전체의 문제이며 21년 동안 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교육을 갖추지 않고 법적 기준을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장연 김정하 조직국장은 “직장인이 월급을 받고 일하는 것은 한 인간의 삶과 미래에 대해 투자하는 인생의 과정”이라며 “법원과 검찰청은 장애인의 권리를 깡그리 무시하고 있다. 의무고용률을 지키게 하고 3%에 멈추는 게 아니라 더 높여야 한다”라고 역설하며 이날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한편 전장연은 기자회견 뒤 법원, 검찰청 등 5개 공공기관 앞에서 한 시간가량 1인시위를 벌였다.

 

▲전장연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법원, 검찰청 등 5개 공공기관에서 1인시위를 진행했다.



정대성 기자 jds@beminor.com
<script type="text/javascript"> </script>
<iframe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WIDTH: 575px; HEIGHT: 240px;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id="f3f6140428b3288" class="FB_UI_Hidden" src="http://www.facebook.com/extern/login_status.php?api_key=116070751814441&app_id=116070751814441&channel_url=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1cbf45c6c3f28e%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display=hidden&extern=2&locale=ko_KR&next=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9d50c9e90d997%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26frame%3Df238e98bd264a98%26result%3D%2522xxRESULTTOKENxx%2522&no_session=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20d1be804f8e22%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26frame%3Df238e98bd264a98&no_user=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32fbe665176ecc%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26frame%3Df238e98bd264a98&ok_session=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1920ad01a857d5%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26frame%3Df238e98bd264a98&sdk=joey&session_origin=1&session_version=3"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 name="f29058a6a73de24" scrolling="no" fbcallid="f238e98bd264a98"></iframe>
<script src="http://connect.facebook.net/ko_KR/all.js#appId=116070751814441&xfbml=1"></script> <iframe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WIDTH: 600px; HEIGHT: 28px;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id="f1edbcf340d212" class="fb_ltr" title="Like this content on Facebook." src="http://www.facebook.com/plugins/like.php?api_key=116070751814441&channel_url=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3dc29b7636c066%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font=verdana&href=http%3A%2F%2Fbeminor.com%2Fnews%2Fview.html%3Fsection%3D1%26category%3D5%26no%3D2315&layout=standard&locale=ko_KR&node_type=1&sdk=joey&send=true&show_faces=true&width=600"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 name="f33f27ed9e142dc" scrolling="no"></iframe>
이 기사 원료료주기
1천인의 마이너 가입하기
프린트프린트 | 메일보내기메일보내기 | 스크랩스크랩 | 트위터로보내기트위터로보내기 | 페이스북공유하기페이스북공유하기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fbs_click() { u = location.href; t = document.title; window.open('http://www.facebook.com/sharer.php?u='+ encodeURIComponent(u) + '&t='+ encodeURIComponent(t), 'sharer', 'toolbar=0,status=0,width=626,height=436'); return false; } </script>
 
비마이너 페이스북 댓글 (위 기사에 대한 댓글을 남겨주세요)
<script src="http://connect.facebook.net/ko_KR/all.js#appId=116070751814441&xfbml=1"></script> <iframe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WIDTH: 662px; HEIGHT: 200px;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id="fd7624afddf4e3" class="fb_ltr" src="http://www.facebook.com/plugins/comments.php?api_key=116070751814441&channel_url=http%3A%2F%2Fstatic.ak.fbcdn.net%2Fconnect%2Fxd_proxy.php%3Fversion%3D3%23cb%3Df2545c026cde97a%26origin%3Dhttp%253A%252F%252Fwww.beminor.com%252Ff3615e0ab3b25f4%26relation%3Dparent.parent%26transport%3Dpostmessage&href=http%3A%2F%2Fbeminor.com%2Fnews%2Fview.html%3Fsection%3D1%26category%3D5%26no%3D2315&locale=ko_KR&numposts=5&sdk=joey&width=662"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 name="f26c8b5118f2f2" scrolling="no"></iframe>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rankup_opinion.js"></script> <iframe style="WIDTH: 100%; HEIGHT: 0px" src="about:blank" frameborder="0" name="opinionMultiProcessFrame"></iframe>
이 기사에 대한 의견 (0개)
 
의견쓰기
작성자 비밀번호
<script type="text/javascript"> rankup_opinion.infos = { ano: "2315", section: "1", category: "5", item: "", opage: "1", osort: "", login: "off", opinion_user: "nonmember" }; rankup_opinion.initialize(document.opinionRegistFrm); </script>
칼 럼
최석윤 칼럼 [최석윤] 장애학생 학습지원 '이게 최선입니까?'
서울 00초등학교. 장애가 있는 2학년 햇살이는 특별활동...
[박정혁] 젠장! 부양의무제 딱 걸렸네!
[원영] 누가 다윈을 두려워하는가 ②
[박김영희] 햇살도 누구의 것일 수 있었다
8회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대회 배너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banner/direct2.js"></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DirectDown("DropHit");</script>
장애인차별상담전화 배너 1577-1330
균도와걷는세상이야기 배너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Libs/_js/rankup_tab.js"></script>
댓글TOP 기사
<style type="text/css"> </style>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ankup_slider_photo = new RANKUP_SLIDER('sphoto_item', 'photobox_title', true)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ankup_slider_movie = new RANKUP_SLIDER('moviebox_item', 'moviebox_title') </script>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노동 장애인권리협약 이행 위한 구체적 전략 필요" 60 file 배추머리 2011.09.02 1184
69 노동 "현실 무시한 본인부담금 부과로 서비스 변질" 72 file 배추머리 2011.08.23 1796
68 노동 장애인들은 전국 곳곳에서 농성 중 59 file 배추머리 2011.08.19 1603
67 노동 "왜 활동보조 자부담 추가해 고통주나?" 99 file 배추머리 2011.08.18 2599
66 노동 "개 같은 고시안 바꾸기 위해 모였다" 178 file 배추머리 2011.08.17 5596
65 노동 "수원에서 오산까지 버스타고 갈래요" 89 file 배추머리 2011.08.16 4155
64 노동 “부산시는 장애인복지예산 확대하라” 81 file 배추머리 2011.08.11 1684
63 노동 연대회의, 복지부에 고시안 의견서 제출 71 file 배추머리 2011.08.09 1459
62 노동 "활동지원제도 고시안은 대국민 사기극" 152 file 배추머리 2011.08.08 4729
61 노동 경주엑스포공원, 이용 편하다고 “글쎄” 남녀로 구분된 장애인화장실 문제 ‘심각’ file 배추머리 2011.08.05 1052
60 노동 권익위, 복지부 등급심사 결정 "부당하다" 심장장애 권혁선씨, ‘등급외 판정’에 재심사 의견표명 file 배추머리 2011.08.04 1962
59 노동 "여기에는 법도 없나요?" file 베이비 2011.08.02 1085
58 노동 .희망 버스, 우리 시대 가장 아름다운 휴가 file 베이비 2011.08.02 948
57 노동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대회 직종 소개-① file 베이비 2011.07.28 1018
» 노동 "가난한 사람은 일하는 것이 생존권" 112 file 배추머리 2011.07.22 3237
55 노동 차마 잠들지 못하는 희망 [2011.07.18 제869호] file 베이비 2011.07.19 774
54 노동 차마 잠들지 못하는 희망 [2011 file 베이비 2011.07.18 837
53 노동 투쟁하는 소금꽃, 당신들이 희망입니다 65 file 배추머리 2011.07.18 1428
52 노동 2차 희망버스 동행기 - 소금꽃나무 효과 file 베이비 2011.07.15 858
51 노동 복지부 내년 예산안, 기초수급자 오히려 줄었다 file 배추머리 2011.07.14 69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