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7.73) 조회 수 4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설 61.75%, 장애인 얼굴 및 신체 등 홈페이지에 공개
탈시설네트워크 이음, 시설 홈페이지 모니터링결과 발표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0-05-24 15:31:26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위 사진은 한 장애인의 엉덩이가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모습.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위 사진은 한 장애인엉덩이가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모습. ⓒ에이블뉴스
장애인생활시설의 61.75%가 홈페이지에 장애인의 얼굴 및 신체를 포함한 일상생활을 공개하는 등 시설 거주 장애인들이 관리자들에 의해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하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표한 '시설 홈페이지 모니터 결과'에 따르면 전국에 등록된 332개(2008년 기준)의 시설 중 205개 시설(61.75%)이 홈페이지에서 사진첩 코너를 통해 장애인의 얼굴 및 신체를 포함한 일상생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습 등을 공개하고 있었다.

또한 205개 시설 중 혐오감을 일으킬 정도의 과도한 신체 노출이나 얼굴, 개인신상정보(이름, 나이, 장애등급, 성격)를 공개한 시설은 전체의 14.76%에 해당하는 49개로 조사됐다. 장애인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은 시설은 48개로 전체 시설의 14.46%에 불과했다.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의 효정 활동가는 "대부분의 시설 홈페이지가 장애인의 이름, 장애등급, 별명 등을 올려놓고 있었다. 이 내용들은 마치 동물원에서 동물들을 소개하기 위한 형식과 똑같다"며 "시설이 인권을 생각한다면, 기본적인 부분들을 지켜야 하지 않냐"고 설명했다.

이어 효정 활동가는 "어느 누가 자신의 엉덩이가 홈페이지에 올라가길 바라겠는가. 누구라도 홈페이지에 올라온 자신의 모습을 보면 수치심을 느끼고 화를 낼 것이다. 하지만 장애인 당사자 대부분이 자신의 정보가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다는 사실 자체도 모른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음은 지난해 12월 한 시설의 홈페이지가 '난방비가 모자라니 후원을 바란다'는 제목아래 장애인의 엉덩이를 드러내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을 공개한 것을 발견한 뒤, 지난 2월부터 시설 홈페이지를 조사한 바 있다. 조사대상 시설을 유형별로 보면 지적장애 146개, 중증요양 126개, 지체장애 28개, 시각장애 12개, 청각장애 12개, 영유아 7개, 실비 1개 순이었고, 홈페이지를 운영하지 않는 시설은 48개였다.

이음의 박정혁 활동가는 "홈페이지에는 거의 구걸하는 듯이 후원을 요구하는 글귀가 써 있다. 특히 지적장애인의 경우에는 서른이 넘었음에도 아이 다루듯이 글을 써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음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시설은 시설에 거주한 장애인을 무능력한 철창 속 원숭이로 취급하지 말라. 장애인의 이미지를 이용해 시혜와 동정이라는 과자를 받아먹으려는 시설은 당장 중단하고, 시설의 서비스 중심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음은 "이번 모니터링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시설홈페이지를 모니터하며, 그 결과를 토대로 인권위에 장애인 차별로 진정을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참가자들은 기자회견을 마치고 명동으로 이동해 약 1시간 가량 시민들을 대상으로 시설의 실태를 알리고, 의견을 묻는 등의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지난 20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애인생활시설의 홈페이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발표했다. ⓒ에이블뉴스
탈시설네트워크 이음 활동가들이 명동예술극장 앞에 모여 시민들에게 시설의 실태를 알리고 있다.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탈시설네트워크 이음 활동가들이 명동예술극장 앞에 모여 시민들에게 시설의 실태를 알리고 있다. ⓒ에이블뉴스
한 시민이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준비한 설문조사에 응하고 있는 모습. ⓒ에이블뉴스
에이블포토로 보기▲한 시민이 탈시설네트워크 이음이 준비한 설문조사에 응하고 있는 모습. ⓒ에이블뉴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정가영 기자 (tasha@able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인권/복지 장차법 모른다...장애인 55.4%, 비장애인 49% 딩거 2010.05.31 458
246 인권/복지 발달장애인 자립생활, "동네에서 할 것을 찾아가자!" 딩거 2010.05.28 654
245 인권/복지 장애인연금 수급대상자 여부 확인 서비스 제공 예정 딩거 2010.05.28 807
244 인권/복지 장애인의 결혼에 있어 필요한 것은 뭐? 딩거 2010.05.28 546
243 사회일반 장애인 정책 실현! 동대문구청장후보 장애인 정책 토론회 딩거 2010.05.28 714
242 인권/복지 장애인들은 투표 하지 마라? 딩거 2010.05.28 776
» 인권/복지 장애인 엉덩이 노출, 이래도 괜찮나요? file 이리스 2010.05.27 435
240 인권/복지 장애인 접근 못하는 투표소 직접 가봤더니 file 이리스 2010.05.27 553
239 인권/복지 “우리 자매가 해냈어요!” 딩거 2010.05.24 605
238 사회일반 서울시장 후보 장애인 공약 '4人4色' file 딩거 2010.05.24 591
237 인권/복지 장애인은 어떻게 사회로부터 배제됐나? 딩거 2010.05.24 560
236 인권/복지 장애인 엉덩이 드러내놓고 후원금 모집? 딩거 2010.05.24 694
235 인권/복지 창고 같은 해운대구청 화장실 이리스 2010.05.20 662
234 인권/복지 장애인연금 홈페이지 오픈 이리스 2010.05.20 407
233 교육 2기 장애여성 기자학교 수강생 모집 딩거 2010.05.20 1042
232 사회일반 누구나 걷고 싶은 거리로 변신 딩거 2010.05.20 706
231 인권/복지 2014년까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8%까지 끌어올린다.. 딩거 2010.05.20 474
230 인권/복지 정부 복지관련 전산망 연계…원스톱 서비스 제공 이리스 2010.05.19 720
229 사회일반 인천을 장애인산업 국제무역전진기지로 육성 이리스 2010.05.19 782
228 인권/복지 장애인에겐 너무 힘든 철도 이용 file 딩거 2010.05.19 495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