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33.67) 조회 수 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를 가진 아동·청소년에게 자존감 증진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힘이 되어, 장애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자신의 강점과 가능성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장애 아동청소년에게 자존감 증진을 통해 긍정적 자아 형성,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 도전과 성장의 원동력, 정서적 안정과 정신건강 유지, 자립심과 사회 적응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자존감은 아동청소년의 질 높은 삶을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자존감이 높은 아동청소년은 자신감과 자율성을 가지고 더 나은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이룰 수 있다.

장애 아동청소년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긍정적인 피드백과 칭찬: 장애 아동청소년에게는 작은 성취와 노력을 긍정적으로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들이 잘한 부분을 인정하고, 실패나 실수에 대해서도 비판보다는 격려의 말을 해주는 것이 자존감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작은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했을 때 충분히 칭찬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2. 자기 결정권과 자율성 부여: 장애 아동과 청소년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활동에서 선택권을 주거나, 취미나 관심사를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자율성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느끼게 하고, 자신의 선택이 존중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면 자존감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3. 개인화된 교육과 치료: 장애 아동과 청소년은 각자의 필요와 특성에 맞춘 개인화된 교육과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개별적인 학습 스타일과 속도를 존중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줄 수 있다. 개인의 능력에 맞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여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4. 사회적 관계와 소속감 증진: 친구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 아동청소년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며, 자신이 소중하고 존중받는 존재임을 느끼게 하는 것이 자존감을 높이는 데 기여하다. 사회적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그룹 활동, 친구 만들기 프로그램, 스포츠나 문화 활동 등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5. 감정 표현을 위한 공간 제공: 장애 아동청소년이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그 감정이 유효하다는 것을 느낄 때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감정 표현을 촉진하기 위해 미술 치료, 음악 치료, 놀이 치료 등 창의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6.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 부모나 가족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자존감 향상에 큰 영향을 준다. 부모는 자녀의 능력과 특성을 인정하고, 지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가 자녀의 강점을 인식하고, 격려하고 지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7. 편견과 차별에 대한 교육: 장애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기 위한 교육과 활동을 통해 장애 아동과 청소년들이 사회적 편견에 맞서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비장애 아동과 청소년들과 함께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포용적 사회 환경을 만들 수 있다.

8. 성공 경험 강화: 장애 아동과 청소년이 성공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경험을 통해 자아 존중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자아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성공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으로는 예술, 스포츠, 학습 등 다양한 분야가 있습니다. 목표 달성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

장애 아동청소년의 자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개별적인 특성과 필요에 맞춰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 아동청소년이 자신감을 얻고 자아 존중감을 느끼며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사회적 통합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장애 아동청소년이 자존감을 키울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37 교육 장애인개발원, '제5회 장애인삶 패널조사 학술대회' 논문 공모 누룽지아지매 2025.04.15 1
2836 행정/법률 장애계 · 플랫폼 업계, 장애 유형별 비대면 진료 접근성 집중 논의 누룽지아지매 2025.04.15 5
2835 사회일반 APEC 부대행사 ‘2025 국제장애고용포럼’ 17일까지 사전 접수 누룽지아지매 2025.04.15 5
2834 인권/복지 충남에 거주하는 청년 중증장애인을 위한 ‘반짝자립통장’ 누룽지아지매 2025.04.15 4
2833 인권/복지 아직 갈길 먼 ‘장애인기업 지원정책’ 해결 과제 산적 누룽지아지매 2025.04.15 3
2832 인권/복지 한국잡월드, 장애아동·청소년 직업체험 접근성 개선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4.14 2
2831 인권/복지 서울시 정신질환자 자립생활주택 입주자 모집‥28일까지 신청 접수 누룽지아지매 2025.04.14 4
2830 행정/법률 복지부,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참여 지자체 추가 모집 누룽지아지매 2025.04.14 1
» 교육 장애 아동청소년의 자존감 증진 방안 누룽지아지매 2025.04.14 1
2828 인권/복지 휠체어 사인 밑 '전용 출입문' 문구, 무슨 특권층이라도 된 듯 누룽지아지매 2025.04.14 5
2827 사회일반 장애물 없는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 장애인 편의 점검 누룽지아지매 2025.04.14 2
2826 인권/복지 같이 사는 지적장애 자녀에게 집 물려줄 때 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 누룽지아지매 2025.04.14 1
2825 인권/복지 “대법 판결? 식당도 못 들어가” 장애인들 정부 상대 집단소송 예고 누룽지아지매 2025.04.14 5
2824 인권/복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 17년, 대구 장애인들 이동권 집단진정 누룽지아지매 2025.04.14 3
2823 인권/복지 에덴장복, 24일 장애인의 날 행사 ‘함께 행복으로’ 개최 누룽지아지매 2025.04.11 6
2822 인권/복지 에이블복지재단, 여성 절단장애인 의족지원 4월 30일까지 접수 누룽지아지매 2025.04.11 3
2821 사회일반 서울시, 장애인-비장애인 화합의 장 `동행누리 서울 축제11일 개최 누룽지아지매 2025.04.11 4
2820 행정/법률 복지부, '제 2회 편의증진의 날 기념행사' 개최 누룽지아지매 2025.04.11 1
2819 인권/복지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한국형 통합돌봄모형구축' 역량 강화교육 성료 누룽지아지매 2025.04.11 2
2818 인권/복지 "공무원 임용시험 차별 불합격" 중증장애인 구제요청 패소 누룽지아지매 2025.04.11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48 Next
/ 14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