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한국장총)이 지난 14일 이룸센터 이룸홀에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김미연 위원장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해 장애인리더스포럼을 개최했다.
지난 3월 3일 김 위원장은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이는 유엔인권조약기구에서 역사상 최초의 아시아 장애여성이 위원장에 오른 의미 있는 사례다.
김 위원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목적과 필요성, 조직 구성과 세계 장애인 현황과 국내 장애계에 대한 당부의 말을 남겼다.
2015~2016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회의 의장을 맡았던 세이브더칠드런 오준 이사장은 우리나라에서 위원에 이어 위원장이 배출된 것을 축하하는 말과 함께 “모든 권리는 다 같은 평화를 향하므로 10개의 인권협약 위원회와 유기적으로 협동하며 활동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에 김미연 위원장은 “위원장단 회의에서도 보편적인 인권 영역에서 어떻게 함께 할 것인지 논의하고 있다”며, “최근 몇 년간, 개인 진정 제도를 통해서 ‘시리아 난민’인 ‘정신장애’를 가진 ‘소녀’ 같이 복합차별 사례를 지속적으로 보고받고 있다. 위원장단은 이런 사안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장애인녹색재단의 정원석 회장의 “기후위기와 자연재해 속에서의 장애인 권리에 대한 국제 현황을 알고 싶다”는 질문에 김 위원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11조에 위험상황 및 인도적 차원의 위급상황에 기후위기와 자연재해, 전쟁과 내전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위원회에서도 이를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하여 관련 지침을 담은 일반논평을 작성 중”이라고 밝혔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의 진형식 상임대표는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권고가 어느 정도 강제력을 갖고 있느냐”고 질문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의 권고는 법률문서로서 국제법상 법적 효력을 가진다”며 “국가가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자국의 장애계가 이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장총의 김동범 사무총장은 “김 위원장이 국내 장애인단체와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국내외 장애계가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꾸준히 마련됐으면 한다”고 질의를 마무리했다.
김미연 위원장은 마지막으로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 장애계가 전 인류가 직면한 위기, 예를 들어 전쟁과 기후위기 등 보편적 이슈에 더 깊이 참여하길 바란다”며, “한국 장애계는 많은 경험과 자원을 갖춘 국가로서 이제는 더 어려운 나라들을 돕는 역할을 수행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