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복지
2025.05.13 10:34

장애인 유형, 정의

(*.90.233.67) 조회 수 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애인의 정의

  •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 신체적 장애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를 말하고,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합니다.

장애의 유형

장애의 유형 내용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신체적
장애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지체장애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뇌병변장애 뇌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시각장애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겹보임(복시)
청각장애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언어장애 언어장애, 음성장애, 구어장애
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
신장장애 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심장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간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기능 이상
호흡기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호흡기기능 이상
장루∙요루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장루∙요루
뇌전증장애 일상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뇌전증
정신적
장애
발달장애 지적장애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자폐성장애 소아청소년 자폐 등 자폐성 장애
정신장애 정신장애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재발성 우울장애,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성 정신장애, 강박장애, 투렛장애, 기면증

장애 유형별 진단 시기

장애 유형별 진단 시기 내용
장애 유형 장애 진단 시기
지체・시각・
청각・언어・
지적・안면 장애
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진단하며, 그 기준 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규정기간(6개월 또는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한다(지체절단,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적 지적장애 등 장애상태의 고착이 명백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뇌병변장애 1.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 등과 기타 뇌병변(파킨슨병 질환 제외)이 있는 경우는 발병 또는 외상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2. 파킨슨병 질환은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정신장애 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에 한다.
자폐성장애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
신장장애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또는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
심장장애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호흡기・간장애 현재의 상태와 관련한 최초 진단 이후 1년 이상이 경과하고, 최근 2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폐 또는 간을 이식받은 사람
장루・요루장애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 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직장절제술 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
뇌전증장애 1.19세 이상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최초 진단 이후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2.소아청소년의 경우 뇌전증 증상에 따라 최초 진단 이후 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장애 유형별 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

장애 유형별 진단 전문기관 및 전문의 등 내용
장애유형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장애정도기준
지체장애 1.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상세보기
2.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정형외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뇌병변장애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상세보기
시각장애 시력 또는 시야결손정도, 겹보임(복시)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의료기관의 안과 전문의 상세보기
청각장애 방음부스가 있는 청력검사실, 청력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상세보기
언어장애 1.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또는 언어재활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상세보기
2.음성장애는 언어재활사가 없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포함
3.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지적장애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재활의학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상세보기
정신장애 1.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다만,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았다 함은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중단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상세보기
2.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장애진단 직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기록을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으로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자폐성장애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세보기
신장장애 1.투석에 대한 장애진단은 장애인 등록 직전 3개월 이상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상세보기
2.1호에 해당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장애진단 직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진단할 수 있으나 3개월 이상의 투석기록을 확인하여야 한다.
3.신장이식의 장애진단은 신장이식을 시술하였거나 이식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외과 또는 내과 전문의
심장장애 1.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 전문의 상세보기
2.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흉부외과의 지속적인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호흡기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흉부외과・소아청소년과・결핵과・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상세보기
간장애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소화기분과)・외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세보기
안면장애 1.의료기관의 성형외과・피부과・외과(화상의 경우) 전문의 상세보기
2.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장루·요루장애 의료기관의 외과・산부인과・비뇨의학과・내과 전문의 상세보기
뇌전증장애 장애진단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신경과・신경외과・정신건강의학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상세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66 사회일반 장애예술인협회, ‘제35회 구상솟대문학상·제8회 이원형어워드’ 공모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5 교육 한국장애학회, 오는 16일 ‘창립 10주년 기념 춘계학술대회’ 개최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4 인권/복지 내년 장애인 자립지원 본사업 전환, “장애인의 탈시설과 자립 계속돼야”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3 노동 글로벌 기업 현직자들과 직접 만나는 단 하루! 장애 청년을 위한 ‘2025년 글로벌 기업과 함께하는 CAREER DAY’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2 인권/복지 장애예술인 창작 활동 활성화 ‘이음아트포트 2025’ 19~24일 개최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1 교육 경기도,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60 인권/복지 김용현 전 장관 장애 비하 발언 파장, 인권위 행정심판 간다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59 인권/복지 급히 치르는 대선, 장애인 고용으로 이런 것을 이야기하자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2958 인권/복지 주호민 사건이 남긴 씁쓸함, 장애아동 가족은 위로받지 못했다 new 누룽지아지매 2025.05.15 0
» 인권/복지 장애인 유형, 정의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6 인권/복지 장애인 정보화교육(방문,집합) 사업 소개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5 인권/복지 장애인의 주거권 보장, 현실과 과제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4 인권/복지 장애 차별 등 체육계 인권침해 규정, 중대한 경우 지도자 자격 취소 누룽지아지매 2025.05.13 0
2953 인권/복지 “장애인주간이용시설 운영 현실화 시급, 정부 지원 확대 필수”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2 인권/복지 대한장애인역도연맹 상임심판 이종현 시인의 시조집 ‘아내, 활을 쏘다’ 출간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1 인권/복지 제42회 전국장애인기능경기대회 참가자 모집‥13개 직종 누룽지아지매 2025.05.13 1
2950 인권/복지 민주당 선대위 장애인시민본부 출범‥“실효성 있는 정책 약속” 누룽지아지매 2025.05.13 0
2949 교육 카카오뱅크·한국장총, ‘모두 장학생 3기 Search-Up Camp’ 성료 누룽지아지매 2025.05.12 0
2948 사회일반 기대만발, 일년 남은 2026 밀라노·코르티나 패럴림픽 누룽지아지매 2025.05.12 1
2947 인권/복지 누림센터, 유니버설 디자인 모델화사업 장애인 시민참여단 공개모집 누룽지아지매 2025.05.12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9 Next
/ 1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