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33.67) 조회 수 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정신병원 입원환자에게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고, CCTV가 있는 병실에서 소변을 보게한 것에 대해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다.

5일 인권위에 따르면, 해당 정신병원 환자 A씨는 입원 시부터 병원 내 규칙을 이유로 휴대전화 반입을 금지당하고 코로나 19에 확진됐다는 이유로 병실에서 격리해 CCTV가 있는 병실에서 이동식 소변기에 소변을 보도록 하는 등 인권침해를 당했다고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휴대전화 반입을 제한한 것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녹음 및 녹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보호병동 입원 환자들에게 공중전화 이용을 권고하고 있는데, 입원 시에 모두 설명했고, ‘정신건강의학과 보호병동 사생활과 행동 제한 설명 동의서’를 작성하게 한 후 입원하도록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코로나 19에 확진된 진정인이 본래 자가격리를 위해 당일 퇴원하기로 했는데, 확진자가 공용화장실을 사용하면 안 되기 때문에 방역을 위한 시간이 필요해 진정인에게 협조를 요청했으며 보호자 도착 시까지 용변이 급할 시에는 이동식 소변기를 지급해 사용하도록 했다고 항변했다.

이에 인권위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은 ▲현행 ‘정신건강복지법’에 치료의 목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른 경우가 아니면 통신과 면회의 자유를 제한할 수 없는 점 ▲휴대전화 제한 동의서를 쓰게 했지만, 이는 환자 개인에 대한 진단 및 처방이 아닌 환자 전원에게 일률적으로 조치한 것으로 구체적인 통신 제한의 사유 및 기간 등이 환자별로 진료기록부에 기재되지 않아 복지부 지침을 준수하지 않은 점 등을 들어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다.

또한 병원장은 코로나 19에 확진된 진정인을 격리하는 과정에서 공용화장실 사용을 제한했고, CCTV 설치 병실에서 진정인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어떠한 조치도 없이, 이동식 소변기를 통해 용변을 해결하도록 했다. 이는 ‘헌법’ 제10조 및 제17조의 인격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침해라고도 밝혔다.

이에 인권위는 해당 정신병원장에게 ▲‘보호병동 사생활과 행동 제한 및 설명 동의서’를 현행 법령에 맞게 수정할 것 ▲보호병동 입원환자의 휴대전화 소지를 원칙적으로 허용하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치료의 목적으로 최소 한의 범위 안에서 제한하며 그 제한의 사유 및 내용을 진료기록부에 기재할 것 ▲감염병에 따른 격리환자들이 불가피하게 용변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CCTV에 노출되지 않도록 가림막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등을 권고했다.

또한 향후 유사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정신의학과 소속 전문의들을 포함한 소속 직원에게 인권 교육을 실시할 것도 포함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인권/복지 휴대전화 금지·CCTV 설치 병실서 용변 보게 한 정신병원 “인권침해” 누룽지아지매 2025.06.11 2
86 사회일반 "이국종을 복지부 장관으로" 정부에 각 세우던 의사들 추천 사유 보니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85 인권/복지 내년 3월부터 중증장애인도 의료 등 통합돌봄 제공받는다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84 인권/복지 장애인공단·코리아종합관리,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83 인권/복지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 ‘제5회 대한민국 국회 의정대상’ 대상 수상 누룽지아지매 2025.06.12 3
82 인권/복지 “진짜 장애등급제 폐지, 활동지원 필요한만큼 달라” 1만명 서명운동 누룽지아지매 2025.06.12 3
81 인권/복지 서울시 비휠체어 장애인 위한 ‘바우처택시’ 증차·이용제한 완화 효과 누룽지아지매 2025.06.12 0
80 인권/복지 김예지 의원, 자립지원법 발의 '제5회 대한민국 국회 의정대상' 수상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79 인권/복지 서울문화재단, 발달장애 미술가 육성사업 ‘우리시각’ 10인 선발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78 인권/복지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1년, 돌봄부담 완화·정서 안정 “굿” 누룽지아지매 2025.06.12 2
77 인권/복지 ‘사람을 위한 따뜻한 기술’ 제20회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풍경 누룽지아지매 2025.06.12 2
76 교육 누림센터, ‘제16회 경기도 미술공모전’ 개최‥7월 18일까지 접수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75 교육 ‘서울시교육청 공무원 불합격처분취소’ 중증장애인 3명 1심 패소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74 인권/복지 장애인공단·코리아종합관리,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73 인권/복지 ‘2025 장애인 미디어 콘텐츠 공모전’ 작품 모집‥8월 6일까지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72 인권/복지 장애인체육회,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캠페인 ‘나답게 MOVE’ 스타트 누룽지아지매 2025.06.16 0
71 인권/복지 와상장애인 항공료 6배 차별 아니다? 인권위 행정심판 청구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70 인권/복지 권익위, 90개 행정심판기관 참여 ‘원스톱 행정심판 시스템’ 정식 개통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69 인권/복지 조폐공사, 장애예술인 ‘정은혜 작가 기념메달’ 출시 누룽지아지매 2025.06.16 0
68 인권/복지 마포구, 6월부터 휠체어리프트 관광버스 임차비 지원 본격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Board Pagination Prev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