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
  • 69名 268 page
  • 어제 :
  • 78名 226 page
  • 총합 :
  • 641219名 10474751 page
    Main left Banner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노선, 운행정보

    공지 → 홈페이지 개편중입니다.

    2024 . 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당일일정: (Thu May 16, 2024)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증장애인 주치의 제도 도입, 건강보건관리종합계획, 장애인 의료기관 접근 편의 제공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빠르면 2017년도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날 통과된 법은 김용익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대표 발의한 ‘장애인 건강권 보장에 관한 법률안’과 문정림 새누리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장애보건법안’이 병합된 안이다.

     

    이 법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주치의 제도를 운영할 근거를 마련했으며, 보건복지부가 장애인 건강 증진 방안을 담은 건강보건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의무를 부과했다.

     

    또한 국가와 지자체가 건강보건관리사업을 진행하고, 장애인건강보건센터를 중앙과 지역에 설치하도록 했다. 센터의 역할로는 장애인 건강검진, 진료, 치료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 종사자에게 교육 훈련을 시행하도록 규정했다. 장애인 당사자가 동네 의료기관에서 진료하지 못하는 질환을 앓는 경우 거주지에 가까운 센터를 이용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외에 장애인의 의료기관 접근을 보장하는 편의를 제공하고, 의료기관을 직접 이용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방문 진료사업을 하는 등 의료 접근권 향상 조항이 포함됐다. 장애인 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 통계 사업을 지원하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재활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등의 내용도 반영됐다.

     

    법에 담긴 계획, 사업에 필요한 재원 일부 혹은 전부는 국가와 지자체가 국민건강진흥기금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대신 장애인 복지 실시 기관이 장애인 의료비 일부를 부담할 수 있다고 규정한 장애인복지법 36조는 폐지된다.

     

    다만 이 법은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을 국가와 지자체의 책무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주치의 제도, 건강관리보건사업, 정보·통계 사업, 재정 지원 등 일부 주요 내용은 강제성이 없는 임의 조항에 그쳤다.

     

    한편 이 법은 대통령 공포일로부터 2년 후에 시행되며, 시행에 앞서 건강보건관리 시범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1. 2017년까지 양주에 특수학교 개교하라"

    2. 해바라기 의문사 가해자, 폭행치상 혐의로 실형 구형

    3. 총파업, 보석 같은 찬란한 미래

    4. '복지파탄 선봉장' 문형표 전 장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으로?

    5. 올해도 법률 제정 성과 있었지만...여전히 갈 길 멀다

    6. 장애인·유모차 등 교통약자, "기쁘다 엘리베이터 오셨네!"

    7. 성희롱 피해자는 징계에 고소까지...가해자는 '별 일 없이 산다'?

    8. 장애인이 낳는다는 것, 장애인을 낳는다는 것 - 장애인이 산다는 것

    9. 동자동 9-20, 다시 ‘이곳’으로 돌아온 삶

    10. 거리에서 죽어간 홈리스 추모하는 ‘시민추모관’, 20일까지 운영

    11. “정립전자 비리 몸통은 법인 이사진, 서울시가 해임해야”

    12. 무연고자 시신, "생전에 반대 안했으면 해부용으로 쓰여도 된다"?

    13. "조물주 위에 건물주"?, 쪽방촌 주민은 어디로 가야하나

    14. 미국 흑인 문학에서 정신장애는 어떻게 재현되는가

    15. 장애 '여성' 없는 IL 현장, 어디서부터 바꿀까

    16. 단식 농성중이던 형제복지원 피해자, 건강악화로 응급실행

    17. 장애가 있든 없든, 삶은 지속된다

    18. 장애/여성 재생산권 새로운 패러다임 만들기 활동 과정과 의미

    19. 장애인건강권 법률, 국회 본회의 통과

    20. 장애/여성 재생산권 새로운 패러다임 만들기 활동 과정과 의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9 Next
    / 13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