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
  • 9名 18 page
  • 어제 :
  • 75名 214 page
  • 총합 :
  • 642718名 10482844 page
    Main left Banner
    서울특별시 저상버스 노선, 운행정보

    공지 → 홈페이지 개편중입니다.

    2024 . 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당일일정: (Tue Jun 4, 2024)
    가정/육아
    2013.04.22 14:36

    서울의 중심에서 수화를 외치다’

    조회 수 1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4.20 23:28 입력
    13664678827590.jpg
    ▲한국농아인협회는 20일 늦은 1시 인사동에서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서울의 중심에서 수화를 외치다’를 종로 일대에서 진행했다.

    한국농아인협회는 20일 늦은 1시 종로구 인사동에서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서울의 중심에서 수화를 외치다’를 열고 종로 일대와 지하철 등에서 홍보전을 진행했다.

    한국농아인협회 변승일 회장은 이날 행사 시작을 알리며 “우리는 말하지 못하고 듣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수화를 사용하는 수화사용자일 뿐”이라며 “이런 것을 말하려고 우리는 비가 와도 거리에 나왔다”라고 밝혔다.

    변 회장은 “농아인들이 장애인으로 살아가지만,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오늘 행사를 마련했다”라고 설명했다.

    간단한 기념행사를 마친 약 100여 명의 참가자는 인사동 거리를 약 30분간 거닐며 피켓을 들고 시민에게 수화언어권리를 알렸다.
     
    이어 지하철 종로3가역 ~ 을지로3가역 ~ 충무로역 ~ 명동역 등을 돌며 시민에게 간단한 수화를 가르쳐주기도 하면서 수화가 하나의 언어임을 홍보했다.

    행사에 참가한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는 종로3가역에서 수화로 노래공연을 하기도 했다. 이어 행사 참가자들은 명동역에서 서울시청까지 행진해 서울시청에서 행사를 마쳤다.

    한국농아인협회 측은 “농아인이 음성언어를 사용할 수 없기에 겪는 사회, 문화적 불편함에 관해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했다”라면서 “더 나아가 장애인단체 전반의 문제들에 관심을 두게 하며 장애에 대한 시민의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해 나가고자 행사를 기획했다”라고 행사의 취지를 설명했다.
     
    13664679151564.jpg
    ▲피켓을 들고 인사동 거리를 행진하는 참가자들.
    13664679396453.jpg
    ▲행사 참가자들이 행진하고 있다.
    13664679585615.jpg
    ▲종로3가역에서 한국농아대학생연합회가 수화로 노래공연을 하는 모습.
    13664679760914.jpg
    ▲지하철에서 시민에게 간단한 수화를 가르쳐주는 한 참가자.


    조은별 기자 sstar0121@beminor.com

    1. "우리 엄마는 보이지 않지만 다 들을 수 있어"

    2. 서울의 중심에서 수화를 외치다’

    3.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무엇을 담고 있나?

    4.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확실한 법적 지위·입지 다져, 연구기관으로 전환 필요”

    5. 사망 처리 실종 장애인, 20년 만에 가족상봉 목포경찰 '헤어진 가족 찾기 프로그램' 통해 찾아내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1-04-25 14:59:30

    6. “장애아동 가정, 수급자 되기 위해 이혼 선택”공대위, '장애아동‥법' 제정 촉구 노숙농성 돌입 “4월 임시국회에서 원안 통과될 수 있도록 투쟁”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1-04-12 20:22:37

    7. 입양, 함께 만들어 가는 큰 사랑

    8.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총력

    9. 장애인 부모 가슴에 핀 ‘카네이션’

    10. 노인들께 책 읽어드리는 북스카우트

    11. 자녀를 건강하게 키우는 10대 수칙

    12. 좋은 부모는 이렇게 대화한다

    13. 떼쓸 때 이렇게 대처해 보세요

    14. 국내 첫 장애유아, 비장애유아 통합교사 배출

    15. 국내 첫 장애유아, 비장애유아 통합교사 배출

    16. 저소득층 가정 유아학비 지원 늘린다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