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33.67) 조회 수 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장추련) 박김영희 상임대표가 18일 서울 강동구 강일동 주민센터에서 장애인활동지원 변경 신청을 위해 의료적 기준의 ‘의사진단서’가 아닌, ‘자가점검표’를 제출했다. 박김 상임대표는 “의사소견서 한 장만으로 내 일상이 평가될 수 없다”면서 ‘진짜 장애등급제 폐지’ 투쟁 결의를 외쳤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은 2019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를 시행하며 정부가 도입한 ‘장애인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가 1~15단계로 구성된 의학적·획일적 기준이 그대로 답습된, ‘무늬만 바꾼 장애등급제’라며, “필요한 만큼 활동지원을 제공하라”며 지난 5월 29일 국민연금공단 서울남부지사 로비를 점거해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농성을 진행하며 전국 300여명의 당사자들이 활동지원 변경 신청을 한 상태다.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9조 속 ‘활동지원등급 변경 신청’ 조항에 따르면, 활동지원 등급 변경 신청을 할 때 ‘진단서’와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라고 명시돼 있다.ⓒ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제공
하지만 당장 활동지원 변경 신청을 해도 당사자가 원하는 만큼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문제는 현행법 기준이다.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9조 속 ‘활동지원등급 변경 신청’ 조항에 따르면, 활동지원 등급 변경 신청을 할 때 ‘진단서’와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라고 명시돼 있다. 당사자의 필요도가 아닌, 의학적 기준이 중심인 셈.

전장연은 “기능에 대한 지원 필요도가 오로지 의학적 변동에만 상응한다는 지침은 정부가 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을 여실히 드러낸다”면서 해당 규정을 당장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18일 서울 강동구 강일동 주민센터 앞에서 장애인활동지원 변경 신청 서비스 필요도 자가점검표 제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박김 상임대표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인 강일동 주민센터에 활동지원 변경 신청을 하며, ‘의사진단서’가 아닌, 자기 필요도를 주장하는 ‘자가점검표’와 ‘본인 의견서’를 제출했다.

박김 상임대표는 "중증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활동지원서비스 평가할 때 내가 얼마나 무능한지, 뭘 할 수 없는지 끊임없이 말하며 비참한 기분을 느낀다. 그렇다고 내 말이 충분히 반영되는 것도 아니"라면서 "그들이 만든 기준에 부합돼야만 나의 일상이 보장되는 현실 앞에서 좌절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이어 "의사가 써주는 단순한 진단서, 소견서 한 장으로 내 일상이 평가되고 주어지는 것에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나는 손상이 아니라 장애가 있다'가 반영되는 것이 아닌, 단순히 무능자, 손상자로만 규정되는 평가 기준을 참을 수 없다"면서 "그들의 만든 의사소견서가 아닌 내가 스스로 평가한 자가진단서로 평가되고 내 일상이 보장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백인혁 활동가는 "필요한만큼 서비스 제공이 아닌, 예산 효율성에 중점을 둬서 우리의 삶을 가로 막고 있다"면서 "기만적인 의학적 기준의 가짜 등급제를 뿌기 위해 첫 출발점으로 활동지원 변경서를 제출한다. 복지부는 시행령에 서비스 필요도를 증명하기 위한 서류에 자기의견서를 추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애인 곁을 든든하게 지켜주는 대안언론 에이블뉴스(ablenews.co.kr)- 

-에이블뉴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발송 ablenews@ablenews.co.kr-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67 인권/복지 국가정원 추진 세미원, 휠체어 탄 장애인 급경사로 고립 '분통' 누룽지아지매 2025.06.19 0
» 인권/복지 “활동지원 내가 필요한만큼 달라” 의사진단서 아닌 자가검검표 제출 누룽지아지매 2025.06.19 1
3065 인권/복지 문화날개IL센터, ‘스마트폰 영상교실’ 참가자 모집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64 사회일반 “바지에 쌀 수도 있지 뭐” 첫사랑이란 이름이 용기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63 인권/복지 일산IL센터, 개별자립생활지원 ‘나의 내일’ 참여자 모집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62 인권/복지 다회용컵·카스토퍼·인식개선교육, 중증장애인생산품 품목 다양화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61 인권/복지 임영웅 팬클럽, 사랑의달팽이에 청각장애인 지원 기부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60 인권/복지 마포구, 6월부터 휠체어리프트 관광버스 임차비 지원 본격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59 인권/복지 조폐공사, 장애예술인 ‘정은혜 작가 기념메달’ 출시 누룽지아지매 2025.06.16 0
3058 인권/복지 권익위, 90개 행정심판기관 참여 ‘원스톱 행정심판 시스템’ 정식 개통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57 인권/복지 와상장애인 항공료 6배 차별 아니다? 인권위 행정심판 청구 누룽지아지매 2025.06.16 1
3056 인권/복지 장애인체육회,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캠페인 ‘나답게 MOVE’ 스타트 누룽지아지매 2025.06.16 0
3055 인권/복지 ‘2025 장애인 미디어 콘텐츠 공모전’ 작품 모집‥8월 6일까지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3054 인권/복지 장애인공단·코리아종합관리,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추진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3053 교육 ‘서울시교육청 공무원 불합격처분취소’ 중증장애인 3명 1심 패소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3052 교육 누림센터, ‘제16회 경기도 미술공모전’ 개최‥7월 18일까지 접수 누룽지아지매 2025.06.13 2
3051 인권/복지 ‘사람을 위한 따뜻한 기술’ 제20회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풍경 누룽지아지매 2025.06.12 2
3050 인권/복지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1년, 돌봄부담 완화·정서 안정 “굿” 누룽지아지매 2025.06.12 2
3049 인권/복지 서울문화재단, 발달장애 미술가 육성사업 ‘우리시각’ 10인 선발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3048 인권/복지 김예지 의원, 자립지원법 발의 '제5회 대한민국 국회 의정대상' 수상 누룽지아지매 2025.06.12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7 Next
/ 157
CLOSE